원자력발전 관련주 TOP10 주가 전망
원자력발전 관련주 TOP10 주가 전망
원자력발전 관련주는 이명방 정부에서 원자력 육성정책을 발표하면서 테마주로 형성되었습니다. 최근에는 체코 두코바니 원전 프로젝트 계약과 소형모듈원자로인 SMR 기술 등장으로 다시 주목 받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국내 상장 주식 중에서 원자력발전 관련주 10개 종목의 주가 전망 및 목표주가를 살펴보겠습니다.
비에이치아이 목표주가
비에이치아이는 1998년 설립된 발전기자재 전문기업으로, 원자력, 화력, 복합화력 등 다양한 발전소에 필수적인 주기기와 보조기기를 설계·제작·공급하고 있습니다.
- 52주최고가/최저가:38,150원/7,000원
- 매출액:1,378억원(2025년 1분기 추정)
- PER/EPS:59.08배/633원
- PBR/BPS:9.93배/3,761원
특히 HRSG(배열회수보일러) 분야에서는 글로벌 원천기술을 보유한 1위 업체로, 국내외 발전사와 EPC 건설사, 포스코 등 제철업체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사업부문은 크게 HRSG, 보일러, B.O.P(보조기기), 기타로 나뉘며, 2022년 기준 HRSG 부문이 전체 매출의 54.7%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높습니다. 원자력 발전 분야에서는 원자로 계통의 보조기기 및 복수기 등 핵심 설비를 공급하며, 국내외 원전 건설 프로젝트에 참여해왔습니다.
한전 및 발전자회사, 국내외 대형 EPC사와의 협업을 통해 안정적인 수주 기반을 확보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원자력 및 친환경 발전 기자재 시장에서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입니다.
우리기술 주가
우리기술은 국내 유일의 원전 비안전계통 제어계측설비(MMIS) 전문업체로, 원자력 발전소의 핵심 설비인 주제어설비를 국산화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52주최고가/최저가:3,300원/1,453원
- 매출액:713억원(2024년)
- PER/EPS:자료없음/-23원
- PBR/BPS:2.92배/691원
한국형 표준 원전(APR1400) 신한울 1~4호기와 신고리 5,6호기에 MMIS를 독점 공급하였으며, 차세대 소형모듈원전(SMR)용 MMIS 개발에도 참여하고 있습니다.
2023년 기준 사업부문별 매출 비중은 시스템(원자력) 38%, 방산 33%, SOC(철도) 23%, 기타 6%로 구성되어, 제어계측 기술을 기반으로 원자력, 방산, 철도, 해상풍력 등 다양한 산업군으로 사업을 다각화하고 있습니다.
원자력 분야에서는 MMIS 국산화 성공을 통해 국내외 신규 원전 건설 및 수주 시 직접적인 수혜가 기대되며, 경상정비용역 등 원전 운영 유지보수에도 참여하고 있습니다.
DL이앤씨 목표주가
DL이앤씨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종합 건설·플랜트 기업으로, 건축·주택·인프라·플랜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선도적 입지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 52주최고가/최저가:46,950원/28,600원
- 매출액:18,567억원(2025년 1분기 추정)
- PER/EPS:8.60배/5,348원
- PBR/BPS:0.40배/114,139원
특히 원자력 발전 분야에서는 소형모듈원전(SMR) 사업에 진출해 글로벌 에너지 시장 변화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테레스트리얼 에너지와의 협력을 통해 일체형 용융염 원자로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으며, 기존의 석유화학 플랜트와 발전소 건설 경험을 바탕으로 원전 EPC(설계·조달·시공) 역량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DL이앤씨는 산업용 전력 및 열원 통합공급 체계 구축, 그린수소·암모니아 생산 연계 등 차세대 에너지 솔루션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대형 플랜트 프로젝트 수행 경험과 첨단 기술력을 바탕으로,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한 설계 및 시공, 운영 효율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한전기술 목표주가
한전기술은 1975년 설립된 한국전력공사의 자회사로, 원자력 발전소 설계 및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APR1400 등 한국형 표준 원전의 설계와 건설을 주도하며, 국내 최초로 UAE 원전 수출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했습니다.
- 52주최고가/최저가:98,100원/49,250원
- 매출액:1,286억원(2025년 1분기 추정)
- PER/EPS:41.41배/1,531원
- PBR/BPS:4.19배/15,179원
한전기술은 원전의 기본설계, 상세설계, 시공감리, 시운전, 운영 및 해체까지 전 생애주기에 걸친 토탈 엔지니어링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또한 원전 안전성 평가, 성능개선, 디지털 제어계측 시스템 개발 등 첨단 기술 연구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해상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분야로 사업을 확대하며, 글로벌 에너지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한전기술은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과 효율성 확보를 위한 핵심 파트너로, 국내외 원전 설계 및 건설 프로젝트에서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수산인더스트리 주가
수산인더스트리는 1983년 설립된 발전설비 정비 전문기업으로, 원자력 및 화력발전소의 경상정비와 유지보수 서비스를 주력으로 하고 있습니다. 원전 경상정비 시장에서 20% 이상의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으며, 한수원 등 주요 발전사와의 장기 계약을 통해 안정적인 사업 기반을 갖추고 있습니다.
- 52주최고가/최저가:31,600원/17,170원
- 매출액:3,168억원(2024년)
- PER/EPS:7.50배/2,752원
- PBR/BPS:0.56배/36,665원
수산인더스트리는 원전의 기계설비, 전기설비, 계측제어설비 등 다양한 분야의 정비 및 개보수, 설비 성능개선 사업을 수행하며, 최신 정비기술과 안전관리 시스템을 도입해 발전설비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태양광, 해상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소 정비 사업에도 진출해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있습니다. 수산인더스트리는 오랜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 원자력 발전소의 안정적 운영과 설비 수명 연장에 기여하고 있으며, 미래 에너지 시장 변화에 대응해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GS건설 목표주가
GS건설은 국내외 대형 플랜트, 발전소, 인프라, 주택 등 다양한 건설사업을 영위하는 글로벌 종합건설사입니다. 원자력 발전 분야에서는 신월성원전, 신울진원전 등 대형 원전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국내 원전 건설 역량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 52주최고가/최저가:21,750원/14,450원
- 매출액:31,369억원(2025년 1분기 추정)
- PER/EPS:6.75배/2,869원
- PBR/BPS:0.37배/51,998원
특히 APR1400 등 한국형 원전 기술을 적용한 프로젝트 경험을 바탕으로, 중동·동남아시아 등 해외 원전 시장 진출을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GS건설은 원전 EPC(설계·조달·시공) 역량 강화와 함께, 원전 안전성 향상, 설비 성능개선, 운영 효율화 등 첨단 기술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친환경 건설, 디지털 혁신, 신재생에너지 사업 확대 등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다양한 신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GS건설은 국내외 원자력 발전소 건설 및 운영 분야에서 축적된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에너지 시장에서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습니다.
두산에너빌리티 목표주가
두산에너빌리티는 1962년 설립된 국내 대표 중공업 기업으로,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 터빈, 발전기, 원자로 내부구조물 등 핵심 기자재를 직접 설계·제작·공급합니다. UAE 바라카 원전 등 해외 대형 프로젝트에 주요 장비를 납품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 52주최고가/최저가:33,700원/15,150원
- 매출액:39,237억원(2025년 1분기 추정)
- PER/EPS:191.95배/174원
- PBR/BPS:2.85배/11,705원
두산에너빌리티는 한국형 원전(APR1400) 및 차세대 소형모듈원전(SMR) 개발에도 적극 참여하고 있으며, 원전 기자재 국산화와 첨단 소재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원전 건설, 정비, 성능개선, 해체 등 원자력 발전소의 전 생애주기를 아우르는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며, 안전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기술 혁신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친환경 에너지 전환과 글로벌 원전 시장 확대에 대응해, 미래형 원자력 발전 기술 개발과 해외 시장 개척에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한전산업 주가
한전산업은 1982년 설립된 한국전력공사 계열사로, 원자력 발전소 및 화력발전소의 수처리설비 운전·정비, 방사성 폐기물 관리, 설비 유지보수 등 발전소 운영 지원 서비스를 주력으로 하고 있습니다.
- 52주최고가/최저가:19,500원/7,900원
- 매출액:3,675억원(2024년)
- PER/EPS:32.33배/356원
- PBR/BPS:3.24배/3,552원
국내 원전 정비 시장의 25% 이상을 점유하고 있으며, 한수원 등 주요 발전사와의 협력을 통해 안정적인 사업 기반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한전산업은 원전 해체 기술 개발, 방사성 폐기물 처리, 설비 성능개선 등 신규 사업에도 적극 진출하고 있으며, 최신 정비기술과 안전관리 시스템을 도입해 발전설비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친환경 에너지 및 신재생에너지 분야로 사업영역을 확대하며, 미래 에너지 시장 변화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한전산업은 오랜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SNT에너지 목표주가
SNT에너지는 1989년 설립된 열교환기 및 발전설비 전문기업으로, 원자력 발전소의 복수기(Steam Surface Condenser), 탈질설비(SCR), 공랭식 열교환기 등 핵심 설비를 직접 개발·제조합니다.
- 52주최고가/최저가:40,000원/9,450원
- 매출액:1,020억원(2025년 1분기 추정)
- PER/EPS:23.23배/1,677원
- PBR/BPS:2.49배/15,607원
- 투자의견/목표주가:4.00매수/43,000원(현대차증권 5월 15일 기준)
세계 시장 점유율 1위의 공랭식 열교환기와 HRSG 등은 국내외 원전 및 복합화력발전소에 공급되고 있습니다. SNT에너지는 미국, 중동 등지의 셰일가스 플랜트와 UAE 원전 프로젝트 등 글로벌 대형 프로젝트에 장비를 납품하며, 첨단 엔지니어링 기술과 대규모 생산설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원자력 발전 분야에서는 복수기, 열교환기, 탈질설비 등 다양한 기자재를 공급하며, 설비의 고효율화와 친환경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SNT에너지는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품질혁신을 통해 글로벌 에너지 플랜트 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우진엔텍 주가
우진엔텍은 2013년 설립된 계측제어설비 및 자동화 시스템 전문기업으로, 원자력 발전소의 시운전 공사, 계측기 정비, 자동화 시스템 유지보수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52주최고가/최저가:51,300원/13,150원
- 매출액:440억원(2024년)
- PER/EPS:32.24배/590원
- PBR/BPS:3.73배/5,115원
원자력 발전소 계측기 정비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접목한 예지정비 시스템 개발 등 첨단 기술 연구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우진엔텍은 원전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계측기 정비, 성능개선, 설비 진단 등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며, 한수원 등 주요 발전사와의 협력을 통해 안정적인 사업 기반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재생에너지, 스마트 플랜트 등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에도 적극 투자하고 있습니다. 우진엔텍은 첨단 계측제어 기술과 오랜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국내외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위 내용은 투자 권유를 위한 글이 아닌 단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불가피하게 내용에 오류 또는 누락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글쓴이는 투자자의 투자 결과에 대한 어떤 법적,경제적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주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력발전 관련주 TOP10 주식 주가 전망 (0) | 2025.05.19 |
---|---|
GTX 관련주 수혜주 TOP10 주가 전망 (0) | 2025.05.18 |
셰일가스 관련주 TOP10 주가 전망 및 목표주가 (0) | 2025.05.16 |
전력설비 관련주 대장주 TOP10 주가 전망 (0) | 2025.05.16 |
브라질 국채 전망 투자방법 (0) | 2025.05.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