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코 원전 관련주 TOP10 주가 전망
체코 원전 관련주 주가가 급등하고 있습니다. 최근에 체코 법원에서 본 계약에 제동을 걸면서 본계약에 먹구름이 드리워졌는데 현지시간으로 4일 최종계약을 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로써 원전 관련주로 분류되는 두산에너빌리티,한전기술,우리기술 등의 주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체코 원전 사업이란?
체코 원전 사업은 체코 정부가 에너지 안보와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추진하는 대규모 국가 프로젝트입니다. 2025년 6월 4일,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은 체코 두코바니 지역에 1,000MW급 한국형 원전 APR1000 2기(5·6호기) 건설 본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사업비는 약 26조 원에 달하며, 한전기술, 두산에너빌리티, 대우건설, 한전연료, 한전KPS 등 국내 주요 원전 기업들이 설계부터 시공, 시운전, 핵연료 공급까지 전 과정을 함께 수행합니다.
향후 5년 내에 테멜린 지역에 추가 2기 건설이 확정되면, 한수원이 우선협상권을 갖게 됩니다. 이번 사업은 체코 현대사상 최대 규모이며, 한국의 유럽 원전시장 진출을 의미합니다.
두산에너빌리티 목표주가
두산에너빌리티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발전 설비 및 산업 플랜트 전문 기업으로, 원자력·화력 발전설비, 해수담수화 플랜트, 환경설비, 운반설비 등 다양한 산업 설비를 국내외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 52주최고가/최저가:45,800원/15,150원
- 매출액:160,749억원(2025년 추정)
- PER/EPS:자료없음/-159원
- PBR/BPS:3.82배/11,872원
특히 원자력 발전소의 원자로, 증기발생기 등 핵심 주기기를 일괄 생산할 수 있는 세계 소수 기업 중 하나로, 국내에서는 사실상 유일하게 원전 기자재를 전문적으로 제작합니다.
창원에 위치한 대규모 종합기계공장에는 원자력, 터빈, 발전기, 주조, 단조 등 12개 단위 공장과 기술연구소, 자체 부두를 갖추고 있습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UAE 원전 프로젝트, 신고리·신울진 등 국내외 대형 원전 프로젝트에서 핵심 기자재를 공급하며 글로벌 원전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한전기술 주가 전망 및 목표주가
한전기술(KEPCO E&C)은 원자력 및 화력발전소의 설계와 기술자립을 목적으로 설립된 한국전력공사 자회사입니다.
- 52주최고가/최저가:98,100원/49,250원
- 매출액:5,478억원(2025년 추정)
- PER/EPS:22.75배/3,029원(2025년 3월)
- PBR/BPS:4.36배/15,786원(2025년 3월)
원전 설계 분야에서 국내외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2009년 UAE 원전 수주에서도 설계를 담당했습니다. 주요 사업은 원자력·화력발전소 설계, 친환경 발전소 설계, 대기오염방지설비, 에너지 절약사업(ESCO), 온실가스 저감사업(CDM) 등 환경 및 신재생에너지 분야까지 확장되어 있습니다.
축적된 기술력과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대한민국의 저탄소 녹색성장과 에너지 자립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우리기술 주가 전망
우리기술은 원자력발전소의 감시제어시스템(MMIS) 등 핵심 제어계측 시스템을 국산화한 코스닥 상장 기업입니다.
- 52주최고가/최저가:3,300원/1,453원
- 매출액:713억원(2024년)
- PER/EPS:자료없음/-46원(2025년 3월)
- PBR/BPS:3.37배/682원(2025년 3월)
1993년 창립 이래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원전 통합운전 시스템의 독자 기술을 확보하였으며, 국내외 원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i-SMR) 기술개발사업에도 참여하는 등 차세대 원전 기술 개발에도 적극적입니다. 또한 원전 사업에서 축적한 제어계측 및 안전성 기술을 바탕으로, 지하철 스크린도어(PSD) 등 철도 분야로도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한전산업 주가
한전산업개발은 화력 및 원자력 발전소의 운영·관리(O&M), 연료환경설비 정비, 정제회공장 운영 및 판매를 주력으로 하는 에너지 전문 기업입니다.
- 52주최고가/최저가:19,500원/8,720원
- 매출액:3,675억원(2024년)
- PER/EPS:36.79배/352원(2025년 3월)
- PBR/BPS:3.85배/3,363원(2025년 3월)
원자력발전소의 유지보수와 정비, 연료환경설비 관리, 터빈·보일러 등 주설비 정비를 수행하며, 국내뿐 아니라 인도네시아, UAE 등 해외 발전소 O&M 사업에도 진출해 있습니다.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는 태양광 발전, 에너지저장장치(ESS) 구축, 전기차 충전소 등 친환경 에너지 사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정제회 판매, 원격검침(AMI), 유해화학물질 감지시스템 등 다양한 에너지 관련 사업도 영위하고 있습니다.
한전KPS 목표주가
한전KPS는 발전플랜트 설비의 진단, 성능개선, 유지보수(O&M), 신재생에너지 EPC(설계·조달·시공) 등 발전설비 전반에 대한 토탈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 기업입니다.
- 52주최고가/최저가:49,100원/35,500원
- 매출액:15,780억원(2025년 추정)
- PER/EPS:14.12배/3,113원(2025년 3월)
- PBR/BPS:1.62배/27,140원(2025년 3월)
국내외 원자력·화력·신재생 발전소의 설비 정비와 송변전 설비의 유지관리, 성능진단, 안전진단 등을 수행하며, 신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 ESS 등) EPC 및 발전사업, 연구개발에도 적극적입니다.
국가 전력망의 안정적인 운영과 미래 에너지 시장 선도를 위해 지속적으로 기술력과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성광벤드 목표주가
성광벤드는 금속관이음쇠(피팅류) 제조 및 판매를 주력으로 하는 코스닥 상장 기업입니다. 1980년 설립 이후 조선, 석유화학, 발전플랜트 등 다양한 산업 플랜트에 사용되는 고부가가치 금속관이음쇠를 생산·공급하고 있습니다.
- 52주최고가/최저가:32,500원/10,680원
- 매출액:2,728억원(2025년 추정)
- PER/EPS:23.30배/1,371원(2025년 3월)
- PBR/BPS:1.62배/19,679원(2025년 3월)
특히 원자력 및 LNG 발전소, 화학플랜트 등 국가 기간산업의 배관자재 공급에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기술력과 품질 인증을 바탕으로 국내외 대형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수소에너지 인프라 구축 사업에도 진출하여 미래 성장동력 확보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태광 주가 전망 및 목표주가
태광산업은 섬유 및 석유화학 분야를 주력으로 하는 코스피 상장 대기업으로, 나일론·아크릴 등 합성섬유와 PTA, AN 등 화학섬유 원료를 생산·판매합니다.
- 52주최고가/최저가:27,000원/11,620원
- 매출액:3,035억원(2025년 추정)
- PER/EPS:14.30배/1,469원(2025년 3월)
- PBR/BPS:0.96배/22,036원(2025년 3월)
섬유와 석유화학 공장의 수직계열화를 통해 일괄 생산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임대사업과 방송통신사업 등으로 사업을 다각화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친환경·신재생에너지 등 미래 성장사업에도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태광그룹의 모기업으로서 다양한 계열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안정적인 재무구조와 지속적인 혁신을 통해 산업 전반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우진엔텍 주가
우진엔텍은 원자력 및 화력발전소의 계측제어설비 정비와 시운전, 운영 중 경상정비, 계획예방정비, 원전 해체 등 발전소 계측설비의 유지보수 전문 기업입니다.
- 52주최고가/최저가:42,700원/13,150원
- 매출액:440억원(2024년)
- PER/EPS:40.28배/504원(2025년 3월)
- PBR/BPS:4.09배/4,963원(2025년 3월)
2013년 설립 이후 모회사 우진의 자회사로, 원자력발전소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계측제어설비 정비 용역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원자력 및 화력발전소에서 신뢰받는 기술력과 경험을 바탕으로 발전설비 정비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하이록코리아 주가
하이록코리아는 관이음쇠(피팅류) 및 밸브 제조를 주력으로 하는 기업으로, 1977년 설립되어 코스닥에 상장되어 있습니다.
- 52주최고가/최저가:32,450원/22,400원
- 매출액:1,905억원(2024년)
- PER/EPS:8.53배/3,480원(2025년 3월)
- PBR/BPS:0.85배/34,850원(2025년 3월)
주력 제품인 초정밀 관이음쇠와 밸브는 조선·해양, 액화천연가스(LNG), 석유화학, 발전, 반도체, 항공우주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공급되고 있습니다.
과거 수입에 의존하던 고품질 피팅류와 밸브의 국산화에 성공하였으며, 국내외 대형 프로젝트에 공급자 승인을 받아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특히 원자력 발전소 및 플랜트 배관자재 분야에서 신뢰받는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우진 주가
우진은 산업용 계측기와 자동화장치, 설비진단시스템, 원자력 계측기 등 다양한 산업용 계측장비를 개발·제조하는 중견기업입니다.
- 52주최고가/최저가:10,950원/5,630원
- 매출액:1,407억원(2024년)
- PER/EPS:24.54배/383원(2025년 3월)
- PBR/BPS:1.00배/9,376원(2025년 3월)
1980년 설립 이후 철강 산업용 계측기를 시작으로, 원자력 발전소용 4대 핵심 계측기 국산화에 성공하였으며, 자회사 우진엔텍을 통해 원자력 및 화력발전소 계측제어설비 정비 사업도 영위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은 원자력 계측기, 온도센서, 자동화장치, 플랜트 설비진단시스템 등이며, 한국수력원자력, 두산에너빌리티 등 국내 주요 발전사에 제품과 서비스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소형모듈원자로(SMR) 관련 기술 개발에도 참여하고 있습니다.
[ 위 내용은 투자 권유를 위한 글이 아닌 단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글쓴이는 투자자의 투자 결과에 대해서 어떤 법적,경제적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주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텔레콤 1분기 배당금 지급일 및 배당금 기준일 (0) | 2025.06.05 |
---|---|
SK하이닉스 1분기 배당금 지급일 및 배당금 기준일 (0) | 2025.06.05 |
현대차 배당금 지급일 배당금 기준일(2025년 1분기) (0) | 2025.06.04 |
AI 챗봇 관련주 대장주 TOP10 주가 전망 (0) | 2025.06.04 |
지능형로봇 관련주 대장주 TOP10 주가 전망 (0) | 2025.06.04 |
댓글